WELCOME!


EBS 미래교육 플러스: 당신의 영어는 안녕하십니까?(#1 방송 시청하기)

EBS 미래교육 플러스: 당신의 영어는 안녕하십니까?(#2 방송 시청하기)

EBS 미래교육 플러스: 말하는 영어, 통(通)하는 언어(#1 방송 시청하기)

EBS 미래교육 플러스: 말하는 영어, 통(通)하는 언어(#2 방송 시청하기)



00. 정채관의 신념과 뿌리
교육보국(敎育報國). 교육을 통해 나라를 발전시킨다.
– 독립유공자 정갑권(애국지사, 대통령표창,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묘역 안장)의 손자.
– 국가유공자 정두용(육군장교, 화랑무공훈장, 국립대전현충원 장교묘역 안장)의 조카.
– 국가유공자 김연호(소방대원, 대통령표창, 국립대전현충원 경찰묘역 안장)의 처손자.
– 국가유공자 정경호(광복회 부천지회)의 아들.


01. 정채관 교수 프로필
⊙ 1972년, 경기도 부천(부천북초, 부천동중, 부천 정명고). 현역만기제대(육군병장). 영국 버밍엄대(공학사), 영국 워릭대(이학석사), 워릭대(교육학박사). 버밍엄대 한인학생회 부회장, 워릭대 한인학생회 회장, 영국 코벤트리 한인회 회장. 서울대 교수학습개발센터 선임연구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국무총리실 산하 정부출연 연구기관) 영어시험출제연구실, 영어교육센터, 임용시험센터, 교육과정·교과서본부 교육과정연구실, 교육평가본부 부연구위원. 대통령 직속 제18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립인천대학교 교수동호회 <인문예동> 설립자 및 초대 회장, 인천광역시 연수구청 ‘정채관 교수와 신나는 영어 산책’ TV프로그램 진행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자문위원, 한국법제연구원 자문위원, 인천광역시교육청 자문위원 등
⊙ 현재 국립인천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19.09~현재),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소장(‘20.01~현재),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회장(‘23.03~현재), 인천학회 교육위원회 위원장(‘19.09~현재), 인천지방검찰청 검찰시민위원회 위원, (‘21.07~현재),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부회장(‘22.02~현재), 한국교육개발원 국가교육통계센터 자문위원(‘22.03~현재),인천광역시교육청 중등교육과 자문위원(‘22.10~현재), 국제학술지 Asia Pacific Journal of Corpus Research, 편집위원장(‘20.04~현재)


    02. 주요 교육 및 연구 분야
    ⊙ 코퍼스영어학(언어 빅데이터 구축·분석·연구), 컴퓨터보조번역(인공지능번역), 영어 교재 및 교육과정 개발, 특수목적영어(공학영어, 법학영어, 의학 영어, 바이오 영어 등), 영어 평가(영어시험 출제 및 채점), 북한 교육정책 및 영어교육 등.


    03. 주요 경력
    <2023>
    –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회장
    – 교육부·한국연구재단 2023년 융합연구지원사업 신규과제 선정평가 평가위원
    – 문화체육관광부·국립국어원 2023년 대화 맥락 추론 및 부적절 발언 탐지 말뭉치 연구분석 사업자 선정평가 평가위원
    – 한국법제연구원 중장기 법령번역사업 계획 수립을 위한 사업계획 검토위원
    – 문화체육관광부·국립국어원 2023년 대화 요약 말뭉치 연구 분석 사업자 선정평가 평가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23년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선정평가평가위원
    – 교육부·한국연구재단 대학-지자체 연계 재정지원사업(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사업, HiVE 사업) 선정평가 평가위원
    – 인천광역시교육청 중등교육과 원격수업지원 자문위원
    – 인사혁신처 공무원 선발시험 위원
    – 인천광역시 연수구 기부심사위원회 위원
    – 인천광역시 연수구 명예 통번역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3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 과제 평가위원
    <2022>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부회장
    – 한국교육개발원 국가교육통계센터 학과(전공)분류 자문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2022년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사업) 연차평가 평가위원
    –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본부 인문학단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과제 평가 평가위원
    – 인천광역시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 정책연구 과제개발 검토위원
    – 인천광역시교육청 제2기 교육감 공약(AI 외국어 교육시스템 개발) 실천계획 수립 자문위원
    –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서울시민대학 종합계획(2023-2027) 수립 연구 용역 제안서 평가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출석수업기반/원격 학습과정단위 평가인정 평가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2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 과제 평가위원
    – 세종시교육청 2022년 교육회복 학교현장지원단 전문가위원(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교과 학습(영어), 기초학력 향상을 위한 에듀테크 활용, 대학생 튜터링)
    – 한국법제연구원 위탁과제 자문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22년AI바우처 지원사업 신규과제 선정 발표평가 평가위원장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22년AI바우처 지원사업 신규과제 선정 평가 평가위원장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격교육연수과정(콘텐츠) 내용 심사위원
    <2021>
    – 인천지방검찰청 검찰시민위원회 위원
    –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부회장
    – 한국법제연구원 법령번역센터 법령번역사업 자문위원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1년도 독학학위제 시험의 출제 개선 방안 자문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출석수업기반·원격 학습과정단위 평가인정 평가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1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묶음 및 K-MOOC+ 선정평가 평가위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격교육연수과정(콘텐츠) 내용 심사위원
    – **청 전국 **공무원 신규채용시험 출제문제 선정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21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과제 평가위원회 평가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21년 AI바우처 지원사업 선정 서면평가 평가위원장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21년 핵심산업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인프라기업) 선정평가 평가위원장
    – 인천광역시인재개발원 2021년도 장기교육과정 영어강사 선발 면접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1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신규 강좌 선정평가 지표 검토위원회 검토위원
    <2020>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20년 글로벌 SaaS 육성프로젝트(GSIP) 지원과제 결과평가 평가위원장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영어마을 운영 민간위탁적격자 심사위원회 심사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0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운영사업 인공지능(AI) 분야 지정공모 평가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출석수업기반/원격 학습과정단위 평가인정 평가위원
    – 관세청·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20년 AI융합 불법복제품 판독 시스템 구축 지원기업 선정평가 평가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0년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연차평가 평가위원
    – 교육부·한국교육방송공사 EBSe를 통한 초등 5학년 영어 교과서기반 멀티콘텐츠 개발·보급위탁기관 선정평가 평가위원
    – 해양경찰청 일반임기제 5급(통번역) 경력경쟁채용 면접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0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2단계 무크 선도대학 선정평가 평가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20년 글로벌 SaaS 육성프로젝트 핵심전환형 지원과제 선정평가 평가위원
    – 국립인천대학교 신입생 기초학습능력 평가(영어) 출제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기획평가원 혁신성장 인재양성 기관선정 ‘빅데이터’ 분야 평가위원회 평가위원
    – 인천광역시 2020년 인천광역시 청내 외국어 학습과정 운영 용역 제안서 평가위원회 평가위원
    – 교육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격 콘텐츠 내용 심사 심사위원
    <2019>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9년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정책 연구 용역 기술평가 평가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9 전국학부모지원센터 운영사업 제안서 평가 평가위원장
    – 교육부·한국교육방송공사 EBSe를 통한 초등 4학년 영어 교과서기반 멀티콘텐츠 개발·보급 위탁기관 선정평가 평가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출석수업기반/원격 학습과정단위 평가인정 평가위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정보통신기획평가원 2019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과제 선정평가 평가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사업) 선정평가 평가위원
    – 교육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콘텐츠 개발 사업 제안서 선정평가 평가위원
    <2018>
    –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임기제공무원 근무성적평가위원회 외부위원
    – 교육부·한국교육방송공사 EBSe를 통한 초등 3학년 영어 교과서기반 멀티콘텐츠 개발·보급 위탁기관 선정평가 평가위원
    – **청 전국 **공무원 신규채용 선발시험 문제선정 및 검토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출석수업기반·원격 학습과정단위 평가인정 평가위원
    <2017>
    – 교육부·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영어I 교과서 검정심의위원회 간사
    –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대학구조개혁평가 후속 점검 점검위원
    –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출석수업기반/원격 학습과정단위 평가인정 평가위원
    <2016>
    – 교육부·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고등학교 신입생 선발고사 기획위원
    <2015>
    – 교육부·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초졸·중졸학력·고졸학력 검정고시 기획위원
    – 인천광역시 인천영어마을 민간위탁 적격자 심사위원회 심사위원장
    <2014>
    – 교육부·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립 유치원·초등학교·특수학교(유치원·초등)교사 신규임용후보자선정 경쟁시험 기획위원
    – 교육부·한국교육과정평가원 중등교사 임용시험 채점본부 평가위원 등.


    04. 국내 및 해외 주요 연구 과제 수행 경력(연구책임자, 공동연구원)
    <2023>
    059) 미국 법령의 핵심 법령 어휘 묶음 분석(한국법제연구원, 공동연구원)
    058) Exploring English Language Teaching in North Korea: An Analysis of Pedagogical Approaches, Cultural Context, and Ideological Underpinnings(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57) 국립인천대학교 K-MOOC 활성화 방안 연구(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56) 인천 예술중 신설 및 대중예술중 전환 설립 추진 방안 연구(인천광역시교육청, 공동연구원)
    <2022>
    055) 이러닝 강좌 신규 콘텐츠 개발 지원 사업(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54) 미국법령(USC)의 핵심어 콜로케이트와 클러스터 코퍼스 분석(한국법제연구원, 공동연구원)
    053) 연구소 발전계획 수립 지원사업(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52) 인문대학 연구촉진 지원사업 연구소연구지원 <학제간 디지털 인문 융합 코퍼스 연구(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51) 코퍼스 기반 영문법 교수학습 연구(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50) 교수 역량 강화 및 교수 지원 프로그램 환류를 위한 교수 지원 체제 구축 고도화 연구(국립인천대학교, 공동연구원)
    049)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해외 MOOC 동향 및 학습자 지원 정책 조사(국가평생교육진흥원, 연구책임자)
    <2021>
    048) 2021년 기초학습 온라인 콘텐츠 개발 지원 사업 <당신의 영문법은 안녕하십니까?>(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47) 2021년 국립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성화 및 대학정책 연구지원 사업 <영어교육 교수학습 방법 개발연구>(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46)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쟁점 사항 및 방향(한국영어교육학회, 연구책임자)
    045) 독학학위제 시험의 출제 개선방안 연구(국가평생교육진흥원, 연구책임자)
    044) 대학혁신지원사업 2021 Nano Degree 교육과정: 컴퓨터 보조 번역 전문가 과정(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43) 아동문학 분석을 통한 다독의 유용성 탐색(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42) 국제조약 상용어구에 대한 코퍼스 분석(한국법제연구원, 공동연구원)
    <2020>
    041) 2020학년도 2학기『교수-학생 전공심화 연구모임』 코퍼스연구그룹(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40) 김정은 시대 북한의 고등교육 대학 영어(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39) 대학혁신지원사업 2020 Nano Degree 교육과정: 컴퓨터 보조 번역 교육 실무 및 응용(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38) 영미권 아동 영문학 코퍼스를 활용한 영미 문화 이해와 영어교육 방안 연구(국립인천대학교,연구책임자)
    <2019>
    037) 2019-2020 국립인천대학교 융합연구단 지원사업: 영문학과 문화예술 속에 묘사된 바이오 기술 연구(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36) 대학혁신지원사업 2019 Nano Degree 교육과정: 컴퓨터 보조 번역 교육 실무(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35)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남북한 영어교육 상호협력 방안 탐색(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34) 남북 영어교육 연구(국립인천대학교, 연구책임자)
    033)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학생평가 개선 방안(대구광역시교육청·교육부, 공동연구원)
    032) 고교교육 혁신 방향에 따른 학생 평가 방안 탐색(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31) 학생평가 컨설팅 지원(전라북도교육청·교육부, 공동연구원)
    <2018>
    030)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 ICILS 2018 본검사 시행 및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 방안 탐색(한국교육과정평가원·교육부, 공동연구원)
    029) 2018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ICILS(세종시교육청·교육부, 공동연구원)
    <2017>
    028)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영어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교육부, 공동연구원)
    027) 2017년 교과용도서 검정(교육부, 공동연구원)
    026) KICE 연구 성과 분석을 통한 영어교육 관련 연구의 현황 진단과 미래 전망(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25) 2017학년도 고등학교 신입생 선발고사(전라북도교육청등 5개 교육청, 공동연구원)
    024) 2017년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TIMSS·ICILS(광주광역시교육청·교육부, 공동연구원)
    023)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II) – 일반고를 중심으로(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2016>
    022) 남북한 교육과정·교과서 비교를 통한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개발 방향 연구: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을 중심으로(교육부·통일연구원, 공동연구원)
    021) 보완적 학력인정제도의 쟁점과 개선 방안 – 검정고시 과목 면제 중심으로(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 교과용도서 개발 및 검·인정 심사를 위한 어휘 사용 지침 적용 방안 연구(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1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개발(한국학술정보원·교육부, 공동연구원)
    018)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17년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출제 적용 연구(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책임자)
    017) 2016년도 초졸·중졸·고졸 검정고시(충청남도교육청·교육부, 공동연구원)
    <2015>
    016) 김정은 체제 4년 평가 및 안정성과 정책 전망: 북한의 교육정책과 교육과정(통일연구원, 공동연구원)
    015) 통일 대비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연구(1)(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14)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초등학교 3·4학년 학생들의 영어 기초 학습 능력 실태 조사(세종시교육청·교육부, 공동연구원)
    <2014>
    013) 북한이탈고등학생 영어학습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탐색(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책임자)
    012) 2014년 영어교육모델 창의경영학교 운영 지원(충청북도교육청·교육부, 공동연구원)
    011) 영어 쓰기 자동채점 프로그램 개발(III)(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2013>
    010) 우리나라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말하기 오류 특성(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책임자)
    009)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2·3급 말하기 영역 및 쓰기 영역에서의 통합형 문항 유형 개발(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08) 대학입시 전형 간소화 정책과 연계한 NEAT(2·3급) 개선 방안(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07) 2013학년도 중고등학생 영어듣기능력평가시험(인천시교육청·교육부, 공동연구원)
    006) 2013년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2·3급)(광주시교육청·교육과학기술부, 공동연구원)
    <2012>
    005)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의 말하기 자동채점 프로그램 도입 방안(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공동연구원)
    004) 2012년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2·3급)(대전광역시교육청·교육과학기술부, 공동연구원)
    003) 2012년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IBT 정보화(교육과학기술부, 공동연구원)
    002) 2012년 영어교사 평가전문가 양성(교육과학기술부, 공동연구원)
    001)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 평가방법 개선 방안(교육과학기술부, 공동연구원)


     

     

     

     

     

     

     

     

     

     

     

     

     

     

    For more information regarding Prof Jung’s work, please contact him at ckjung@inu.ac.kr, ckjung@gmail.com, ck.jung@alumni.warwick.ac.uk